top of page

RETURN​

STATEMENT

“Preparation for Death”,

Socrates answered like this the question of ‘what philosophy is like’.

We have one thing that we are surely going to confront someday but we do never know about and are not prepared for at all.

It’s our own death.

“Someone returned.”

We Koreans usually express “Someone died” in this way.

Where did we come from indeed, and so where on earth are we going back?

Over the past 10 years, I have been wandering everywhere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nly.

The question was, “Where are we going to return after death?”,

and in other words, “What does death mean to us?”

I had spent 3 years, since I was 10, nursing my mother in a ward where terminal cancer patients gathered. By the time the scream of someone that I could hear every night felt more fearful than death itself, my mother eventually died in pain and afterwards, the trauma remained to me for a long time.

And about the time when the wound became healed, my health took a turn for the worse, so I should be hospitalized.

The doctor told me that my illness was critical, which made me so scared.

I was more afraid of the suffering, which I would feel in the process,

than the death itself and the wounds my remaining children would have to suffer.

When we came to overcome the trauma of mother’s death, we would then face the reality of our own death. In the end, human beings might be the creature destined not to be able to escape from the trauma of death during their lifetime.

I wanted to confront the death in Korea through the documentarystyle photography work. In the process of Korean ancestral rites and funerals that have ceaseless continued for a long time, I attempt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

Visiting countless sites related to the funeral and memorial rite for funerals,

Confucian rites, shrines, Buddhist ancestral rites, places for Buddhist ascetics, cremation rites, shaman rituals, and so on, I have tried to find out the answer of the ‘Returning’.And I have strived to find the answer, while visiting the places for ascetics who are practicing asceticism to overcome the fear of death.

Why have we lived for such a long time trying to remember the dead?

Indeed, did they, who have practiced asceticism over the course of their lives, overcome their fear of death?

I asked them and could also find out the answer for myself.

Eventually, we should not agonize over the question, “When will we come to meet it?”, but “How will we meet that moment?”

Now, for me, death is not only a thing of the past, but a reality to come.

It is also something that will come to every human being.

Thus, the recording of death is the same task as I confront my death,

also meaning the preparing work for it. Furthermore, although it might start from private records,  it is also the issue all human beings have after all.

 

I still cannot clearly speak about where we would return. Nevertheless, about the question,“How could we exist?”, I can definitely say through this work.

 

“Memory”

We usually exist as a memory to others. All the funerals and rites I have seen and recorded in the meantime were also the ritualto remember the dead after all.

Ultimately, the question, “How could we exist?”, is also the same meaning as “How would we be remembered?”.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question, “How would we be remembered?”,

is equal to “How would we live the rest of our life?”, as well.

Perhaps, it’s someone’s memory where we would return after death.

Even in the present age, in which even the life is converted into the monetary value and the material value is regarded as a top priority,

I think that the serious thinking about my own death will lead us to consider again the value of respect and care for the rest of our life.

Through the process of this work, I could overcome the trauma and recover my tranquility. I think that there surely is a healing power in the photographs.

Photos may help you face your own trauma.

If someone has suffered from the same pain as that of me,

I believe they could certainly help him face his own abyss and overcome it.

작업노트

 

‘죽음을 위한 준비’

소크라테스는 철학이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우리는 누구에게나 닥칠 일이지만 전혀 알지 못하고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죽음이다.

“돌아가셨다.”

우리 한국인은 죽었다는 말을 이렇게 표현한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기에 그 곳으로 다시 돌아간다는 말인가?

나는 지난 10여년 동안 오직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헤매었다.

그것은 “우리는 죽어서 어디로 돌아가는가?” 즉 “죽음이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라는 질문이다.

나는 10살때부터 3년동안 말기 암 환자들이 모여있는 병실에서 어머니를 간호하며 지냈다.

밤마다 들리는 누군가의 비명소리가 죽음 그 자체보다 무섭게 느껴질 무렵

결국 고통 속에서 어머니는 돌아가셨고 그 트라우마는 나에게 오랫동안

남아 있었다.

그리고 그 상처가 치유될 무렵 나는 건강이 악화되어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었다.

의사는 나의 병이 위독하다고 말했고 나는 너무 두려웠다.

죽음 그 자체보다 그 과정에서 겪을 고통과 남겨질 아이들이 겪을 상처가 더 두려웠다.

우리는 어머니의 죽음이라는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고 나면 우리 자신의 죽음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결국 인간은 평생 동안 죽음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일지도 모른다.

나는 한국의 죽음을 다큐멘터리 형식의 사진작업을 통해 맞닥뜨려보고 싶었다.

오랜 시간동안 면면히 이어져온 한국의 제의와 장례의 과정 속에서 한국의 죽음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장례식, 유교식 제사, 본향당, 불교식 제의, 스님의 수행처, 다비식, 무속식 제의 등등 장례와 제의에 관한 현장을 수없이 찾아 다니며 나는 돌아감에 대한 답을 구했다.

그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수행자와 수행처를 찾아다니며 그 답을 찾으려 했다.

우리는 왜 그 오랜 시간동안 죽은 자를 기억하려 애쓰며 살아가는 것인가?

평생을 수행한 그들은 과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했을까?

 

그들에게 물었으며 또한 스스로 답을 찾았다.

결국 우리는 “언제 맞이할 것인가?” 가 아닌 “어떻게 그 순간을 맞이할 것인가?” 에 관해서 고민하여야 한다.

이제 나에게 죽음은 더 이상 과거의 일만이 아니라 다가올 현실이기도 하며. 모든 인간에게 닥쳐올 일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죽음을 기록하는 일은 곧 나의 죽음과 대면하는 일이며 준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또한 사적 기록에서 출발하였으나 결국 모든 인간의 고민이기도 하다.

나는 아직도 우리가 어디로 돌아가는지 명증하게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가 어떻게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 작업을 통해서 명확하게 말할 수 있다.

 

“기억”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기억으로 존재한다.

내가 보고 기록한 이 모든 장례식과 제의들 역시 결국 죽은자를 기억하기 위한 의식이였다.

결국 우리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은 우리는 어떻게 기억되어질 것인가? 라는 질문과도 같다.

어떻게 기억되어 질 것인가? 질문은 또한 우리가 남은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라는 질문과도 같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가 죽어서 돌아가는 곳은 바로 누군가의 기억일지도 모른다.

생명마저 금액으로 환산되는, 물질적 가치가 그 무엇보다 우선되는 현 시대에 자신의 죽음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우리의 남은 삶을 인간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가치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작업의 과정을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평온을 찾았다.

사진에는 분명 치유의 힘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사진은 자신의 트라우마를 대면하는데 도움을 준다.

누군가 나와 같은 고통을 겪었다면 분명 그들이 그들 자신의 심연을 마주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 나는 믿는다. 

bottom of page